본문 바로가기

현장실습 수업 고도화

참여기업 및 직무의 다각화

  • 현장실습 운영현황에 대한 검토를 통해 참여율에 따른 학과별, 학생별 맞춤형 전략 도출
  • 산업별, 직무별 참여기업에 대한 종합분석을 통해 균형 있는 참여기업 선정의 토대 마련
  • 교내 각 학과 및 교수와의 협력관계를 지닌 기업 정보에 기초하여 참여기업을 확대하고 필요한 산업군 및 직무에 대한 기업발굴을 위해 산학협력 중점교수 중심의 발굴활동 실시

참여기업/학생의 효율적 매칭

  • 기업 정보와 학생 정보의 종합을 통한 데이터 허브 구축
  • AI기반의 산학협력 데이터 허브 구축을 통한 현장실습 참여기업의 요구와 학생의 필요를 실시간으로 매칭하고 이를 실제 실습참여로 연계
  • 매칭 시 기업과 학생 사이의 매칭을 관리하고 지원할 산학협력 중점교수를 지정하고 이를 추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

우수기업발굴을 통한 표준현장실습 확대

  • 기존 표준현장실습 참여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표준현장실습 운영체계 마련
  • 직무별, 산업별 표준현장실습 참여 가능 기업 발굴 및 학과별 가능기업 정보 제공
  • 인천대 표준현장실습 운영포럼을 개최하여 기업과의 협력모델 제시 및 공유
  • 산학연계형 현장실습지원협의회(KACE) 등 과의 협력을 통한 현장실습기회 확보 및 표준현장실습을 위한 체계 구축

현장실습관리주체의 확립 및 관리 고도화

  • 향후 현장실습 교과목의 개설 및 운영 주체를 현장실습지원센터로 일원화하기 위해 센터 내 산학협력 중점교수를 확충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 구축
  • 기업 및 학생에게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현장실습관리 시스템을 구축
  • 현장실습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련 정보의 실시간 수집 및 분석

성과창출계획

구분 주요내용
표준현장실습 건수
  • 표준현장실습에서 향후 각 학과가 발굴한 실습의 비중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학과의 기업관련 정보 및 네트워크 활용
  • 표준현장실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의 발굴을 위해 현장실습을 위한 기업발굴, 학생매칭, 실습운영, 환류 등의 체계를 수립하고 1차적으로 우수기업을 중심으로한 현장실습 운영의 원칙을 수립
현장실습참여율
  •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일반현장실습도 운영하며 학생들의 현장에서의 학습요구에 근거한 매칭 실시
  • 현장실습 학점의 상향을 통한 제도개선을 통해 현장실습참여율 제고
전체학과 중 참여학과 비율
  • 현장실습이 일부 학과로 편중되지 않도록 미참여 학과 대상 제도 안내 및 세미나 개최
  • 미참여 학과의 실습희망 직무 및 기업 파악 및 관련 기업 발굴
사이트 방문기록

TIME LINE

닫기

최근에 접속한 사이트가
없습니다.